최근 당사에 연료소비 절감은 잘 모르겠다는 반응이 있습니다.


그러나 출력상승 효과를 인식하면서 연료절감이 되지 않는 사례는


공학적으로는 없습니다.


1. 왜냐하면 엔진 Dynamo상의 연료소비 시험 방법은 일정연료를


공급하여 나오는 출력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BSFC


즉 1마력을 내는데 소모되는 연료량을 환산합니다.


단위가 g/ps/h입니다.


즉 같은 연료로 출력이 얼마 나오느냐가 마력당 연비율의 기본 산식입니다.


즉 1마력을 내는데 몇 gr의 연료가 소모되느냐가 관건입니다.


2. 도로주행 시험 즉 실차 연료시험의 산식은 일정속도(10km/h)의


정배수 속도를 선정 변속기는 최상속 기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

3. 시험주행은, 균등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달려 주행속도가 균등하게 된후


가장 가까운 표점(일정구간 표시점)에 대해, 연료소비량 측정장치에의한


유량측정을 시작하며 그 다음 소정의 거리표점에 달할 때까지


소비량의 측정을 실시함과 동시에 이사이에 소요된 시간 및 주행거리를


측정한다.




식 : F = L/Q[km/L], F = Q/L×V[ℓ/h], F = Q/(W.L)×ℓ/t [km]




F : 연료소비율 (km/ℓ) L : 측정구간 실거리 (km)


Q : 연료소비량 (ℓ) V : 실속도 (km/h)


W : 시험시 차량 총중량(무게) t


※ 자동차 주행시험 방법 JIS(D 1010) 規格 인용





연료소비는 동일연료로 일정기온에서 일정무게를 일정속도로 일정시간동안


이동한 경우에 비교가 가능합니다.


V.I.D를 장착후에 연료소비율 측정을 필요로 한다면


이상의 기준으로 측정하신다면 그 효과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
J.S.